티스토리 뷰
1.emptyDir
-컨테이너들끼리 볼륨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됨
-예를 들어 container1이 웹서버고 container2가 백엔드
-volume은 pod생성시 만들어지고 삭제 시 없어짐
(volume에는 일시적인 사용목적에 의한 데이터만 저장하는게 좋음)
2.hostPath
-pod들이 올려져 있는 node의 poth 사용
-각각의 pod들이 path를 공유하기 때문에, pod들이 죽어도 node안에 있는 데이터는 사라지지 않음
-그러나, 예를 들어 pod2가 재생성될 때, 원래 node에 생성될거라는 보장이 없음
(해결: 운영자가 node추가시마다 똑같은 path를 만들어서 직접 node에 있는 path끼리 mount를 걸어줌) *사전에 해당 node에 경로가 있어야 에러가 나지 않음
-각각의 노드에는 각 노드 자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파일들이 있는데, pod 자신이 할당되어 있는 호스트에 데이터를 읽거나 써야할 때 hostPath를 사용하면 됨
3.PVC/ PV(persistent volume claim/persistent claim)
-pod에서 바로 pv에 연결을 안하고 pvc를 거치는 이유: 쿠버네티스에서는 volume 사용에 있어서 user(서비스 담당자)와 admin(운영자)이 있음, 그리고 각각의 담당이 다르기 때문에, 각각의 역할에 따라 나눠짐
(1)최초 admin이 pv생성(volume에 연결)
(2)서비스 담당자가 pvc생성 (pv에 연결)
(3)pod 생성시 pvc마운팅
'CLOUD > Kubernet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쿠버네티스 개념] replicaSet 의미 및 역할 (0) | 2021.06.27 |
---|---|
[쿠버네티스 개념] namespace 의미 및 역할 (0) | 2021.06.27 |
[쿠버네티스 개념] configMap, secret 의미 및 역할 (0) | 2021.06.27 |
[쿠버네티스 개념] service 의미 및 역할 (0) | 2021.06.27 |
[쿠버네티스 개념] pod 의미 및 역할 (0) | 2021.06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