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0. Controller의 기능
- Auto Healing
- Auto Scailing
- Software Update
- Job
1.Template
- pod가 다운되면, replication안에 있는 template으로 pod를 새로 만들어주게 됨
- template에 pod:v2에 대한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, 기존에 연결되어 있는 pod을 다운시키고 새로 업그레이드 된 pod:v2를 생성
2.Replicas
- replicas의 개수만큼 pod의 개수가 관리되고, 그 pod가 삭제되면, replicas의 개수만큼 재생성해줌
- repliacas의 개수가 늘어나면 그 수만큼 pod가 늘어나면서 scale out이 됨
- replicas에 pod없이 개수만 지정하고, template을 만들면, replicas는 현재 pod가 없기 때문에 template의 내용으로 pod를 생성함
3.Selector
- replication의 selector는 키와 라벨이 같은 pod과 연결을 해줌(하나라도 다르면 연결을 하지 않음)
- replicaSet에는 matchLabels라고 해서 키와 라벨이 같아야 연결을 해주는 기능이 있고, 다른 하나는 matchExpressions라고 해서 key와 value를 좀 더 디테일하게 컨트롤할 수 있음
- matchExpression —> Example) key: ver일 때 key가 ver인 모든 pod을 선택해준다
- matchExpression 의 4가지 기능
- Exists: 내가 키를 정하고, 그에 맞는 키를 가지고 있는 pod와 연결
- DoesNotExist: 키에 정해진 값이 아닌 pod와 연결
- In: 키가 정해진 값들중, 값에 설정한 값이 들어간 pod들만 선택
- NotIn: 키가 정해진 값들중, 값에 설정한 값이 들어가지 않은 pod들만 선택
'CLOUD > Kubernet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쿠버네티스 개념] job 의미 및 역할 (0) | 2021.06.27 |
---|---|
[쿠버네티스 개념] deployment 의미 및 역할 (0) | 2021.06.27 |
[쿠버네티스 개념] namespace 의미 및 역할 (0) | 2021.06.27 |
[쿠버네티스 개념] configMap, secret 의미 및 역할 (0) | 2021.06.27 |
[쿠버네티스 개념] volume 의미 및 역할 (0) | 2021.06.27 |